Crip Ecologies and Senses
-
Published:April 2023
Rhizophora: Queering Chemical Kinship in the Agent Orange Diaspora
Bibliography
김상희. “IL센터, 이대로 괜찮을까?” 비마이너, 2018년3월28일. http://beminor.com/detail.php?number=12032.
김성구. 신자유주의와 공모자들. 서울: 나름북스, 2014.
김재형. “ ‘식민지 시기’부랑나환자‘와 사회의 대응.” 배제에서 포용으로—형제복지원의 사 회사와 소수자 과거청산의 과제 토론회 (2018년 11월 19일 서울대학교) 자료집. 미간 행), 2018.
김재형. 질병, 낙인—무균사회와 한센인의 강제격리. 서울: 돌베개, 2021.
김종인, 김재익. 자립생활실천론. 서울: 창지사, 2014.
김지혜. “ ‘프라이버시와 차별’ ” 강의, 미간행, 장애여성공감, 2019년3월12일.
김현철. “ ‘감금’에서 ‘감금지리’로: 언어화되지 않은 착취와 소외, 감정과 트라우마, 살 들(fleshes)의 논의를 위해.” 웹진글로컬포인트 no. 5 (2019). http://blog.jinbo.net/glocalpoint/78.
루인. “번호이동과 성전환—주민등록제도, 국민국가, 그리고 트랜스/젠더.” 젠더의 채널을 돌려라. 서울: 사람생각, 2008, 25–46.
박정미. “식민지 성매매제도의 단절과 연속: ‘묵인-관리 체제’의 변형과 재생산.” 페미니즘 연구 11, no. 2 (2011): 199–238.
박차민정. “AIDS패닉 혹은 괴담의 정치.” 말과활 12 (2016): 35–48.
원미혜. “ ‘보이지 않는 ‘경계’에서: 용산 성매매 집결지 중•노년층 여성의 이주 체험을 중심 으로.” 이화인문과학원탈경계인문학 7, no. 2 (2014): 233–71.
이익서, 최정아, 이동영. “장애인 자립생활모델에 대한 탐색적 고찰: 사회적 배제 관점을 중심으로.” 한국사회정책 14, no. 1 (2007): 49–81.
이정은. “ ‘난민’ 아닌 ‘난민수용소’, 오무라(大村)수용소: 수용자, 송환자에 대한 한국정부 의 대응을 중심으로.” 사회와역사 103 (2014): 323–48.
정근식 외. 한센인 인권 실태조사. 서울: 국가인권위원회, 2005.
정종화, 주숙자. 자립생활과 활동보조서비스. 파주: 양서원, 2008.
조미경. “장애인 탈시설 운동에서 이뤄질 ‘불구의 정치’ 간 연대를 기대하며.” 시설사회. 서울: 와온, 2020, 279–89.
조미경. “탈시설 운동의 확장을 위한 진지로서의 IL 센터.” IL과 젠더 포럼 자료집. 미간 행, 2018.
조영길, 김정미, 노경수. 장애인자립생활개론. 서울: 학지사, 2016.
지은구. “바우처와 사회복지서비스: 복지서비스의 확대인가 퇴조인가?” 복지동향 11 (5/20/2008). https://www.peoplepower21.org/welfarenow/663627.
차승기. “수용소라는 안전장치—오무라 수용소, 폴리스, 그리고 잉여.’ ” 주권의 야만—밀 항, 수용소, 재일조선인.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, 권혁태•이정은•조경희 엮 음. 파주: 한울아카데미, 2008.
천주교인권위원회, 공익인권법재단공감,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친구사이, 한국성적소수 자문화인권센터. 구금시설과 트랜스젠더의 인권 토론회 자료집. 미간행, 2011년 4월 15일.
최정기. 감금의 정치. 서울: 책세상, 2005.
형제복지원구술프로젝트. 숫자가 된 사람들. 파주: 오월의봄, 2015.
황지성. “건강한 신체와 우생학적 신체들.” 배틀그라운드: 낙태죄를 둘러싼 성과 재생산의정치. 서울: 후마니타스, 2018, 215–42.